소화기 질환

과민성대장증후군이란?
기질적인 질환 없이 배변 습관의 변화와 동반하여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크게 변비 우세형, 설사 우세형, 혼합형이 있습니다.
장내의 다양한 자극에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장 과민성,
유전적, 장내 세균총의 불균형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납니다.
병리기전으로는 위장관의 감염, 세균 증식, 대장 내벽의 민감도가 높거나,
스트레스로 인한 결장 내압의 증가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01
Type
한약 치료
한방 치료에서는 신양허쇠(腎陽虛衰), 장위조열(腸胃燥熱) 등으로 변증하며 환자의 상태에 맞게 조습(燥濕),
안신(安神) 시키는 한약 등으로 변증시치하여 치료합니다.
위를 건비(健脾), 보위(補胃)하는 한약치료도 처방합니다.
02
Type
침치료
침은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치료법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2017년에 발표된 Yu의 연구에서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에 대해서 침치료 VS 양약치료 두 그룹으로 4주간 연구하였습니다.
관원, 중완, 기해, 하완에 침 치료한 그룹에서 양약군보다 유효율이 훨씬 높았음을 보여주었고(86.7 vs 64.3) 설사나 복통의 증상 점수에서도 유효하다는것을 알려주었고, ISS-SSS 점수에서 치료 받은 직후와 3개월 후의 결과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주었습니다.
03
Type
뜸치료
한국한의학진흥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뜸을 4주간 하루에 한번씩 중완, 신궐, 관원, 천추혈에 치료한 결과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이상증세 외에도 전신피로감 등의 증상완화에 효과를 나타냈다고 합니다.

장누수증후군?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은 장(腸) 점막의
투과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독소,
세균 등이 혈류로 유입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장 점막은 선택적으로 영양소를 흡수하고 해로운 물질은 차단하지만,
장누수가 발생하면 장벽이 약해져 염증과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01
Type
잘못된 식습관
02
Type
장내 미생물 불균형(장내 유익균 감소, 유해균 증가)
03
Type
만성 염증 및 스트레스
04
Type
장 점막을 손상시키는 약물
05
Type
음식 알레르기 및 과민 반응
글루텐, 유제품 등 특정 음식이 장 점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음
장누수증후군은 만성적인 장 건강 문제와 면역계 이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한의학적 치료와 생활습관 관리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